본문 바로가기
헬시라이프 비밀노트

크론병 주요증상, 원인, 진단, 치료방법

by smallcatheart 2025. 5. 8.
반응형

크론병이란?

크론병(Crohn’s Disease)은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기관 어디에나 염증이 생길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IBD)이다.
염증이 장벽 전체에 걸쳐 발생하며, 염증 부위가 건너뛰듯 나타나는 게 특징이다.

궤양성대장염과 함께 대표적인 IBD로 분류되며, 주로 십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에 처음 진단되는 경우가 많다.

 

주요 증상

증상 설명
만성 복통 주로 하복부 중심으로 반복적 통증 발생
지속적 설사 묽은 변, 하루 수차례 이상 볼일
체중 감소 영양 흡수 장애와 식욕 저하 동반
피로감 만성 염증과 영양 부족으로 인한 전신 피로
항문 질환 치루, 농양, 통증 등 동반될 수 있음
발열 염증 악화 시 미열 또는 고열 동반 가능
 

원인과 발병 기전

원인 설명
유전적 요인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 높음
면역계 이상 자가면역 반응으로 장 조직 공격
환경적 요인 흡연, 항생제 남용, 서구식 식단 등
장내 미생물 불균형 유익균 감소와 유해균 증식의 상호작용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스트레스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면역계가 과잉반응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진단 방법

검사 설명
내시경 검사 대장·소장 내 염증, 궤양, 협착 확인
조직검사 내시경 중 조직 채취해 염증 확인
MRI / CT 장벽 두께, 누공 등 합병증 파악에 도움
혈액·대변 검사 염증 수치, 빈혈 여부, 감염 배제 목적
 

치료 및 관리 방법

치료 설명
항염증제 설파살라진, 메살라민 등 사용 제한적
면역억제제 아자티오프린, 6-MP 등으로 면역 반응 억제
생물학적 제제 항-TNFα, IL 억제제 등 효과 높지만 고가
스테로이드 단기 증상 완화 목적, 장기 사용 지양
수술 협착, 누공, 출혈 등의 합병증 발생 시 일부 절제 가능
 

생활 속 관리 요령

  •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튀김, 유제품, 인공 첨가물 제한
  • 규칙적인 식사 습관: 소량씩 자주 먹는 것이 장에 부담 적음
  • 스트레스 관리: 명상, 운동 등으로 면역 반응 완화
  • 흡연 금지: 흡연은 크론병 증상을 악화시키는 주요 원인
  • 정기검진 유지: 약물 부작용 및 합병증 조기 발견 목적

크론병은 완치가 어렵지만,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 꾸준한 관리로 충분히 조절 가능한 질환이다.
무시하면 일상생활이 어렵지만, 관리하면 충분히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다.

혹시 배가 자주 아프고, 설사나 체중 감소, 피로감이 반복된다면 단순한 장염으로 넘기지 말고, 소화기내과 전문의의 상담을 받아보자.

내 장의 건강은 내가 가장 잘 느낄 수 있다.
오늘부터라도, 내 몸의 신호에 조금 더 귀를 기울여 보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