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시라이프 비밀노트

저작근 장애 주요증상, 원인, 진단, 치료방법

by smallcatheart 2025. 4. 19.
반응형

“턱이 아프고, 입을 벌릴 때마다 ‘딱’ 소리가 나요.”
자고 일어난 뒤 턱이 뻐근하고, 식사 중 턱이 무겁게 느껴지거나 통증이 생기고, 입을 크게 벌릴 때마다 관절에서 소리가 나고, 점점 턱 사용이 부담스러워지는 증상이 계속된다면 ‘저작근 장애’일 수 있다.

 

저작근 장애란?

저작근 장애는 턱을 움직이는 근육(저작근)에 통증이나 기능 이상이 발생하는 상태를 말한다.
저작근은 우리가 씹고, 말하고, 하품하는 모든 동작에 관여하는 근육으로, 여기 문제가 생기면 턱뿐만 아니라 머리, 귀, 목까지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흔히 턱관절 장애(TMD)의 하위 개념으로 분류되며, 근육 자체의 과긴장, 염증, 경련 등이 주요 원인이다.

 

주요 증상

증상 설명
턱 통증 씹을 때, 말할 때 턱 근육이 아프고 뻐근함
개구장애 입을 벌리기 힘들고, 범위가 제한됨
관절 소리 입을 벌릴 때 ‘딱’ ‘우두둑’ 소리 발생
얼굴 비대칭 한쪽 턱만 무의식적으로 사용하게 되어 생김
두통, 이통 턱 근육 문제로 귀, 머리까지 통증 유발 가능

 

원인과 위험 요인

원인 설명
이갈이, 이악물기 밤새 턱에 과도한 힘이 들어가며 근육 과긴장 유발
스트레스 심리적 긴장이 저작근 긴장으로 이어짐
부정교합 치아 배열 이상으로 저작 근육에 불균형한 힘 가해짐
장시간 턱 사용 껌 씹기, 딱딱한 음식, 오랜 대화 등
턱 외상 교통사고, 충격 등 물리적 손상

 

 

특히 스트레스와 관련된 이갈이는 많은 사람들이 인식하지 못하고 겪는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다.

 

진단 방법

  • 문진 및 이학적 검사: 턱 운동 범위, 통증 부위 확인
  • 촉진 검사: 저작근 누르며 통증, 경직 여부 확인
  • MRI 또는 초음파: 근육 염증 및 관절 상태 정밀 확인
  • 근전도 검사: 근육의 수축 패턴, 긴장도 확인

병원에서 간단한 입 벌리기 테스트만으로도 증상이 명확한 사람도 있다. 이후 MRI로 염증 정도를 확인하게 된다.

 

치료 방법

치료 설명
물리치료 온찜질, 초음파, 전기자극 등을 통해 근육 이완
약물치료 소염진통제, 근육이완제 등으로 통증과 긴장 완화
보톡스 주사 과도하게 긴장된 근육에 주사하여 경직 완화
스플린트(마우스피스) 이갈이나 이악물기 완화용 보조기구 착용
스트레칭 및 운동요법 턱 근육 이완을 위한 입 벌리기 운동 등

 

 

생활 속 관리법

  • 딱딱한 음식 피하기: 마른 오징어, 얼음, 견과류 등
  • 껌 씹는 습관 줄이기
  • 입 크게 벌리지 않기: 하품 시 손으로 턱 받치기
  • 턱 마사지 및 온찜질 습관화
  • 스트레스 관리: 명상, 운동 등으로 전신 긴장 완화
  • 정기적으로 턱 상태 점검하기

저작근 장애는 단순히 턱만의 문제가 아니다.
작은 불편함에서 시작된 증상이 두통, 목 통증, 얼굴 비대칭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일상생활의 불편함도 커진다.
하지만 조기에 진단하고, 원인을 제대로 파악해 치료하면 충분히 좋아질 수 있다.

혹시 요즘 턱이 자주 아프거나, 입 벌릴 때 소리가 나고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면 그건 단순한 피로가 아닐 수 있다.
지금이라도 가까운 치과나 턱관절 전문 병원을 찾아가 턱의 상태를 점검해보자.
내 얼굴, 내 표정, 내 말하기를 지키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