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 얼굴에 물집이 생기고 점점 번지더니 딱지가 앉았어요.”
아이 얼굴에 붉은 반점이 물집으로 바뀌고, 딱지가 앉으며 보기에도 불편한 상태가 됐다면 그냥 피부 트러블이 아니라 ‘농가진’일 수 있다.

농가진이란?
농가진(impetigo)은 피부에 생기는 전염성 세균 감염 질환으로, 주로 황색포도상구균이나 연쇄상구균이 원인이 된다.
‘전염성 농피증’이라고도 하며, 특히 유아나 어린이에게 흔하게 발생하고, 피부에 작은 상처가 생겼을 때 세균이 침투하면서 병이 생긴다. 가벼운 증상으로 시작하지만 빠르게 번질 수 있어 초기에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주요 증상
증상 | 설명 |
붉은 반점 | 피부에 작은 붉은 반점으로 시작 |
물집 형성 | 반점이 곧 물집으로 바뀌고, 쉽게 터짐 |
진물과 딱지 | 물집이 터지며 궤양, 노란 딱지 형성 |
가려움 | 증상이 심해지면 아이들이 긁게 되어 2차 감염 위험 증가 |
얼굴, 입 주변 | 특히 코, 입 주변에 흔히 발생하며, 손톱, 팔 등에도 전파 |
농가진의 종류
종류 | 특징 |
비수포성 농가진 | 진물과 딱지가 특징, 노란 꿀딱지 형태 |
수포성 농가진 | 물집이 크고 터지며 진물 형성, 전신 증상 동반 가능 |
보통 어린이에게서 비수포성 농가진이 더 흔하게 발생하며, 수포성은 영유아에게 더 자주 나타날 수 있다.
전염 경로와 주의 사항
농가진은 접촉을 통해 매우 쉽게 전염된다. 손으로 병변 부위를 만진 후 다른 부위를 만지거나, 타인의 피부나 물건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전염 경로 | 설명 |
직접 접촉 | 감염된 피부 병변과의 접촉 |
간접 접촉 | 수건, 침구류, 장난감 등 공용물 사용 |
자가 접종 | 손으로 긁어 다른 부위로 전염시키는 경우 |
특히 어린이집, 유치원 등 공동생활 공간에서 빠르게 퍼질 수 있어 집단 감염 예방이 중요하다.
진단과 치료
- 피부 병변 관찰: 육안으로도 진단이 가능
- 세균 배양 검사: 원인균 확인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
- 치료법:
치료 | 설명 |
항생제 연고 | 국소 부위 감염 시 사용 (무피로신 등) |
경구 항생제 | 증상이 광범위하거나 깊은 감염 시 사용 |
진물 세척 | 생리식염수나 항균 비누로 부드럽게 닦아냄 |
손톱 짧게 깎기 | 2차 감염 예방을 위해 아이 손톱 관리 필수 |
보통은 항생제 연고와 항히스타민제를 병행하며 1주일 정도 사용하면 증상이 거의 사라지며, 다른 가족에게 전염되지 않도록 이불과 수건은 따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방과 관리법
- 개인위생 철저히 하기
- 아이 손톱 짧게 유지하기
- 상처 부위 만지지 않도록 교육하기
- 수건, 침구, 장난감 공유하지 않기
-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 방문하기
특히 아이가 물집이나 딱지를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자주 손을 씻게 하고, 잠잘 때는 장갑을 끼워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농가진은 쉽게 생기고, 금방 퍼질 수 있는 피부 질환이지만 초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금세 나을 수 있는 병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위생 관리와 가족 간 전파를 막기 위한 주의이다.
혹시 요즘 아이 피부에 붉은 반점이나 물집이 생겼다면, 그냥 두지 말고 피부과에서 진단을 받아보자.
눈에 보이는 피부 증상은 작을 수 있어도, 전염은 생각보다 빠르다.
내 아이는 물론 주변 사람들을 위해서도, 가볍게 넘기지 않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시작이 된다.
'헬시라이프 비밀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도염에 좋은 차, 속을 다독이는 따뜻한 한 잔의 힘 (0) | 2025.04.17 |
---|---|
베체트병 증상 및 치료법 (0) | 2025.04.17 |
경추신경병증 증상, 원인, 치료방법 (0) | 2025.04.17 |
미나리 효능, 향긋한 풀이 전해주는 자연의 해독 에너지 (0) | 2025.04.17 |
올리브오일 효능, 황금빛 한 방울에 담긴 지중해의 건강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