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시라이프 비밀노트

농가진 주요증상, 종류, 전염경로, 치료방법

by smallcatheart 2025. 4. 17.
반응형

“애 얼굴에 물집이 생기고 점점 번지더니 딱지가 앉았어요.”
아이 얼굴에 붉은 반점이 물집으로 바뀌고, 딱지가 앉으며 보기에도 불편한 상태가 됐다면 그냥 피부 트러블이 아니라 ‘농가진’일 수 있다.

 

농가진이란?

농가진(impetigo)은 피부에 생기는 전염성 세균 감염 질환으로, 주로 황색포도상구균이나 연쇄상구균이 원인이 된다.
‘전염성 농피증’이라고도 하며, 특히 유아나 어린이에게 흔하게 발생하고, 피부에 작은 상처가 생겼을 때 세균이 침투하면서 병이 생긴다. 가벼운 증상으로 시작하지만 빠르게 번질 수 있어 초기에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주요 증상

증상 설명
붉은 반점 피부에 작은 붉은 반점으로 시작
물집 형성 반점이 곧 물집으로 바뀌고, 쉽게 터짐
진물과 딱지 물집이 터지며 궤양, 노란 딱지 형성
가려움 증상이 심해지면 아이들이 긁게 되어 2차 감염 위험 증가
얼굴, 입 주변 특히 코, 입 주변에 흔히 발생하며, 손톱, 팔 등에도 전파

 

농가진의 종류

종류 특징
비수포성 농가진 진물과 딱지가 특징, 노란 꿀딱지 형태
수포성 농가진 물집이 크고 터지며 진물 형성, 전신 증상 동반 가능

 

 

보통 어린이에게서 비수포성 농가진이 더 흔하게 발생하며, 수포성은 영유아에게 더 자주 나타날 수 있다.

 

전염 경로와 주의 사항

농가진은 접촉을 통해 매우 쉽게 전염된다. 손으로 병변 부위를 만진 후 다른 부위를 만지거나, 타인의 피부나 물건을 통해서도 감염될 수 있다.


전염 경로 설명
직접 접촉 감염된 피부 병변과의 접촉
간접 접촉 수건, 침구류, 장난감 등 공용물 사용
자가 접종 손으로 긁어 다른 부위로 전염시키는 경우

특히 어린이집, 유치원 등 공동생활 공간에서 빠르게 퍼질 수 있어 집단 감염 예방이 중요하다.

 

진단과 치료

  • 피부 병변 관찰: 육안으로도 진단이 가능
  • 세균 배양 검사: 원인균 확인 및 항생제 감수성 검사
  • 치료법:
치료 설명
항생제 연고 국소 부위 감염 시 사용 (무피로신 등)
경구 항생제 증상이 광범위하거나 깊은 감염 시 사용
진물 세척 생리식염수나 항균 비누로 부드럽게 닦아냄
손톱 짧게 깎기 2차 감염 예방을 위해 아이 손톱 관리 필수

 

 

보통은 항생제 연고와 항히스타민제를 병행하며 1주일 정도 사용하면 증상이 거의 사라지며, 다른 가족에게 전염되지 않도록 이불과 수건은 따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방과 관리법

  • 개인위생 철저히 하기
  • 아이 손톱 짧게 유지하기
  • 상처 부위 만지지 않도록 교육하기
  • 수건, 침구, 장난감 공유하지 않기
  •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병원 방문하기

특히 아이가 물집이나 딱지를 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자주 손을 씻게 하고, 잠잘 때는 장갑을 끼워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농가진은 쉽게 생기고, 금방 퍼질 수 있는 피부 질환이지만 초기에 발견하고 적절히 치료하면 금세 나을 수 있는 병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위생 관리와 가족 간 전파를 막기 위한 주의이다.

혹시 요즘 아이 피부에 붉은 반점이나 물집이 생겼다면, 그냥 두지 말고 피부과에서 진단을 받아보자.
눈에 보이는 피부 증상은 작을 수 있어도, 전염은 생각보다 빠르다.
내 아이는 물론 주변 사람들을 위해서도, 가볍게 넘기지 않는 것이 건강을 지키는 시작이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