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시라이프 비밀노트

기립성 저혈압 주요증상, 원인, 진단, 치료방법

by smallcatheart 2025. 4. 21.
반응형

“갑자기 일어났는데 눈앞이 하얘지고 어지럽더라고요.”
잠시 앉아 있다가 일어났는데, 세상이 핑 도는 기분. 눈앞이 흐려지고 귀도 멍해지고, 특히 아침에 일어날 때 자주 그렇다면 '기립성 저혈압'일 수 있다.

 

기립성 저혈압이란?

기립성 저혈압(Orthostatic Hypotension)은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또는 누워 있다가 갑자기 일어났을 때, 혈압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어지럼증이나 실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보통 수축기 혈압이 20mmHg 이상, 이완기 혈압이 10mmHg 이상 떨어질 때 진단된다.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반복되거나 일상생활에 불편을 줄 경우, 반드시 원인을 파악하고 관리해야 한다.

 

주요 증상

증상 설명
어지럼증 갑자기 일어날 때 핑 도는 느낌
시야 흐림 눈앞이 깜깜해지거나 하얘짐
실신 심한 경우 의식을 잃고 쓰러질 수 있음
집중력 저하 머리가 멍하고 집중이 어려움
피로감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무기력함
가슴 두근거림 심장이 더 빨리 뛰는 느낌 동반

어떤 경우는 아침에 침대에서 일어나자마자 몇 초간 눈앞이 까매지곤 하며, 지하철에서 오래 서 있다가도 똑같은 증상이 나타난다고 한다.

 

원인과 유발 요인

원인 설명
탈수 수분 부족으로 혈액량 감소
저염식 나트륨 부족 시 혈압 유지 어려움
약물 복용 고혈압약, 이뇨제, 항우울제 등
자율신경계 이상 파킨슨병, 당뇨병성 신경병증 등
급성 질환 출혈, 심한 설사, 고열 등
고령 노화로 인해 자율조절 능력 저하

 

 

특히 노인이나 만성 질환자에게서 흔하게 발생하며, 지나친 다이어트나 물 섭취 부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진단 방법

검사 설명
기립경 검사(틸트 테스트) 눕다가 일어나는 동안 혈압·맥박 측정
혈압 측정 자세 변화 전후 수치 비교
혈액검사 탈수 여부, 전해질 상태 확인
심전도 심장 관련 원인 감별
자율신경 검사 자율신경계 기능 이상 평가

병원에서 기립경 검사로 눕기 전과 일어선 후 혈압 차이를 확인한다.

 

치료 및 관리 방법

방법 설명
수분 섭취 증가 하루 1.5~2L 이상 권장
염분 섭취 증가 의사 지도하에 저염식 피하고 적절한 염분 유지
점진적 자세 전환 갑작스러운 자세 변화 피하기
압박 스타킹 다리 혈류 유지에 도움
약물 치료 심한 경우 혈압 유지를 위한 약물 처방
운동 가벼운 유산소와 근력 운동으로 혈관 탄력 유지

 

 

물병을 항상 들고 다니며 수분섭취를 자주 하고, 아침에 일어날 때도 침대에서 몇 분 정도 앉아 있다가 천천히 일어나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크게 줄어들수 있다.

 

생활 속 관리 팁

  • 앉았다가 일어날 땐 천천히
  • 샤워 후 체온 유지 (뜨거운 물은 혈압 낮출 수 있음)
  • 과음, 과식 피하기
  • 오래 서 있는 상황 피하거나 다리 꼬고 서기
  • 지속적인 증상 시 전문의 상담 필수

기립성 저혈압은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흔한 증상이지만, 빈도가 잦아지거나 일상에 영향을 줄 정도라면 분명히 조치를 취해야 한다.
특히 수분 부족이나 약물, 자율신경계 이상 같은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혹시 요즘 따라 일어날 때마다 어지럽거나, 눈앞이 깜깜해지는 일이 자주 있다면 단순한 피로로 넘기지 말고 한 번쯤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자.
천천히 일어나는 습관 하나가, 오늘 하루의 안정을 지켜줄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