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시라이프 비밀노트

자궁선근증 증상, 진단, 치료(자궁근종과 차이점)

by smallcatheart 2025. 4. 15.
반응형

“생리통이 너무 심하고 생리량도 많아요.”
여성이라면 한 번쯤은 겪어봤을 고민일지 모른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게 단순한 생리통이 아니라 ‘자궁선근증’이라는 질환일 수도 있다는 걸 많은 사람들이 잘 모른다.

자궁선근증이란?

자궁선근증은 자궁의 안쪽에 있는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근육층(자궁근층) 안으로 파고들며 자라는 질환이다. 원래는 자궁 안쪽에만 있어야 할 내막 조직이 자궁의 벽 쪽으로 침투하면서 자궁이 두꺼워지고, 점점 커지는 특징을 갖는다.

이 질환은 가임기 여성, 특히 30~40대 여성에게 흔하며, 생리통과 생리과다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여성 질환 중 하나다.

주요 증상

증상 설명
생리통 점점 심해지는 통증, 진통제로도 조절 어려움
생리과다 생리혈 양이 많고, 기간도 길어짐
빈혈 잦은 출혈로 인해 만성 피로, 어지러움 유발
성교통 성관계 중 통증 동반 가능
불임 난소 기능이나 착상에 영향 줄 수 있음

 

자궁선근증과 자궁근종의 차이점

두 질환은 증상이 유사하지만, 병의 본질은 다르다.

구분 자궁선근증 자궁근종
발생 부위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근층으로 침투 자궁근육 내 섬유종 양성 종양
형태 자궁 전체가 커지고 퍼짐 종양이 결절 형태로 뚜렷하게 존재
통증 더 심하고 광범위한 생리통 상대적으로 국소적 통증

 

진단 방법

  • 질 초음파 검사: 자궁 내막 두께 및 자궁 모양 확인
  • MRI: 자궁 벽의 구조와 침투 깊이 정밀하게 확인 가능
  • 혈액검사: 빈혈 여부, 호르몬 수치 확인

초음파만으로는 명확한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있어, 필요 시 MRI가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한다.

 

치료 방법

자궁선근증은 완치가 쉽지 않고, 통증 완화와 생리량 조절 중심의 치료가 진행된다. 치료는 환자의 연령, 증상 정도, 향후 임신 계획에 따라 달라진다.

치료 방법 설명
호르몬 치료 생리 억제, 내막 위축 유도 (경구 피임약, 루프, 주사제 등)
자궁절제술 임신 계획이 없는 중증 환자에 적용
고주파 열치료(RFA) 자궁 기능 보존하면서 병변만 제거
자궁내장치 삽입 생리량 감소에 효과적인 루프 삽입(Mirena 등)
보조 치료 진통제, 철분제 복용 등 증상 완화 목적

 

일상 속 관리법

  • 온찜질 사용: 복부에 따뜻한 찜질팩 사용으로 통증 완화
  • 카페인, 자극적 음식 줄이기: 생리통 악화 방지
  • 규칙적인 운동: 혈액순환 개선으로 통증 완화
  • 스트레스 관리: 자율신경 안정과 호르몬 균형 도움
  • 정기 검진 필수: 병의 진행 정도를 꾸준히 확인

생리 전후로 복부를 따뜻하게 유지하는 습관과 따뜻한 차와 찜질팩 하나만으로도 통증 강도가 훨씬 줄어든다.

자궁선근증은 단순한 생리통이 아니다. 방치하면 증상이 악화되어 삶의 질을 심각하게 떨어뜨릴 수 있다.
하지만 조기에 진단하고 꾸준히 관리하면, 충분히 컨디션을 회복하고 건강한 일상을 유지할 수 있다.

혹시 지금도 매달 반복되는 극심한 생리통과 생리과다로 힘들고 있다면, 그냥 넘기지 말고 병원을 방문해보자.
내 몸의 신호를 외면하지 않는 것이, 나를 지키는 가장 지혜로운 방법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