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시라이프 비밀노트

뇌신경마비란 무엇인가?

by smallcatheart 2025. 4. 5.
반응형

한쪽 얼굴이 갑자기 움직이지 않는다면 어떤 기분일까. 눈이 제대로 감기지 않고, 입 한쪽으로만 물이 흐른다. 처음 겪는 사람에겐 마치 몸의 절반이 멈춘 것 같은 낯선 공포가 밀려온다.  최근 자우림의 김윤아가 투병했다는 뇌신경마비에 대해 알아보자.

 

뇌신경마비란 무엇인가?

뇌신경마비는 뇌에서 직접 나오는 12개의 뇌신경 중 하나 이상이 손상되어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상태를 말한다. 각 뇌신경은 눈, 코, 입, 귀, 얼굴 근육, 삼킴, 청각 등 특정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신경이 마비되었느냐에 따라 증상이 매우 다르게 나타난다.

단순히 얼굴이 마비되는 증상뿐 아니라, 시야가 흐릿해지거나 이명이 들리고, 말을 하거나 삼키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그래서 조기 진단이 특히 중요한 질환이다.

 

뇌신경과 그 기능 정리

아래는 대표적인 뇌신경과 그 기능, 마비 시 나타나는 증상을 표로 정리한 내용이다.

뇌신경 번호 명칭 주요 기능 마비 시 증상
제3뇌신경 동안신경 눈의 움직임 눈꺼풀 처짐, 복시
제5뇌신경 삼차신경 얼굴 감각, 저작 감각 저하, 저작 불편
제7뇌신경 안면신경 얼굴 표정 근육 안면 마비, 입 한쪽 처짐
제8뇌신경 청신경 청각, 평형감각 청력 저하, 어지러움
제10뇌신경 미주신경 발성, 삼킴 목소리 변화, 삼킴 곤란

 

 

특히 안면신경(제7뇌신경)은 가장 흔하게 마비가 발생하는 신경 중 하나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구안와사(안면신경마비)’가 여기에 해당된다.

 

원인과 위험 요인

뇌신경마비의 원인은 다양하다.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이다. 특히 대상포진 바이러스나 단순 포진 바이러스가 안면신경에 염증을 일으켜 마비를 유발하는 경우가 많다. 그 외에도 뇌졸중, 종양, 외상, 당뇨, 고혈압 등 기저 질환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초기 증상을 놓치지 말아야

뇌신경마비는 빠르게 대처할수록 회복 가능성이 높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 얼굴 한쪽이 움직이지 않음
  • 눈 감기 어려움
  • 웃을 때 입꼬리 비대칭
  • 음식을 먹을 때 한쪽으로만 새어 나옴
  • 귀 주변 통증 또는 이상 감각
  • 말할 때 어눌하거나 흐려짐
  • 한쪽 눈물 혹은 침의 과도한 분비

이러한 증상은 갑자기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아침에 일어나 보니 얼굴이 이상하다는 말을 듣고 병원을 찾는 사례가 많다.

 

치료와 회복 과정

뇌신경마비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스테로이드 약물과 항바이러스제를 병행한다. 초기 72시간 이내에 치료를 시작하면 회복 가능성이 크게 높아진다. 안면신경마비의 경우, 물리치료와 안면근 자극 훈련이 병행되기도 한다.

회복 기간은 사람마다 다르며, 평균적으로 2~6주 내에 증상이 호전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수개월 이상 걸리기도 하고, 일부는 후유증이 남을 수도 있다. 특히 마비된 근육이 다시 회복되는 과정에서 ‘비정상 연접’이 생기면, 웃을 때 눈물이 나는 등의 이상 증상(동시운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일상에서 주의해야 할 점

  • 눈이 완전히 감기지 않는 경우, 인공눈물과 안대 사용
  • 차가운 바람, 냉기 피하기
  • 충분한 수면과 면역력 관리
  • 스트레스 최소화
  • 무리한 안면 자극이나 마사지 자제

뇌신경마비는 그 자체도 무섭지만, 갑작스럽게 찾아온다는 점에서 더 큰 공포를 준다. 하지만 조기 대응과 꾸준한 치료로 대부분의 경우 회복이 가능하다. 무엇보다 우리 몸이 보내는 작은 신호들을 무시하지 않고, ‘피곤해서 그런가 보다’ 하고 넘기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얼굴 한쪽이 조금 이상해 보인다거나, 말하거나 삼키는 데 이상이 있다면 꼭 전문가의 진단을 받아보길 권한다. 조기에 대처하면, 그만큼 회복도 빠르다. 우리 몸은 늘 신호를 보내고 있다. 지금 그 소리를 놓치고 있진 않은지, 한 번쯤 돌아볼 때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