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헬시라이프 비밀노트

구안와사 주요증상, 원인, 치료, 관리

by smallcatheart 2025. 4. 16.
반응형

“아침에 일어났는데 얼굴 한쪽이 안 움직여요.”
갑자기 한쪽 눈이 감기지 않고, 입이 삐뚤어졌다고 하면 ‘구안와사’를 떠올리게 된다. 낯선 듯 하지만 의외로 주변에서 종종 들을 수 있는 병명이다.

 

구안와사란?

구안와사(口眼歪斜)는 ‘입과 눈이 비뚤어졌다’는 뜻으로, 의학적으로는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를 의미한다.
주로 벨 마비(Bell’s palsy)로 불리며, 안면신경(제7뇌신경)의 염증이나 압박으로 인해 얼굴 근육의 움직임이 일시적으로 마비되는 증상이 나타난다. 갑작스럽게 발생하며, 대부분은 한쪽 얼굴에만 증상이 나타난다.

 

주요 증상

증상 설명
한쪽 얼굴 근육 마비 웃거나 말할 때 비대칭이 뚜렷해짐
눈 감기 어려움 눈물이 나거나 각막 건조 발생
입꼬리 처짐 침 흘림, 발음 부정확 등 동반
미각 저하 혀 앞부분의 맛 감지 기능 감소
귀 주변 통증 신경 염증으로 인한 통증 가능
소리 민감 귀에서 소리가 과도하게 크게 들림

갑작스레 얼굴이 ‘내 얼굴 같지 않다’는 느낌이 들고, 거울을 보면 확연히 차이를 느끼게 된다.

 

원인과 유발 요인

구안와사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연관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요인 설명
바이러스 감염 헤르페스 바이러스, 대상포진 바이러스 등
면역 저하 과로, 스트레스, 수면 부족 등으로 면역력 저하
저온 노출 찬바람, 냉방기 바람 등으로 인한 신경 노출
당뇨병 신경 혈류 순환에 영향을 주는 만성 질환

 

 

특히 환절기나 겨울철 찬바람을 얼굴에 직접 쐬는 일이 많아지면, 구안와사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진단 방법

  • 문진 및 신체검사: 표정, 눈 감기, 입 움직임 등 관찰
  • 신경학적 검사: 중추성 마비(뇌졸중 등)와의 감별
  • MRI, CT: 필요 시 뇌종양이나 다른 뇌질환 배제
  • 혈액검사: 당뇨, 감염 여부 확인

중요한 건 중추성 안면마비(뇌졸중 등)와의 감별이다. 구안와사는 이마까지 마비가 되지만, 중추성 마비는 이마는 정상이고 입 주변만 마비된다.

 

치료 방법

조기 치료가 핵심이다. 발병 72시간 이내 치료 시작 시 회복률이 높다.

치료 설명
스테로이드 약물 신경 염증 완화에 효과적, 초기에 필수
항바이러스제 바이러스 감염 가능성 있는 경우 병용
물리치료 마사지, 온찜질, 전기 자극 등 신경 자극 회복 유도
눈 보호 인공눈물, 안대 등으로 눈 건조 및 손상 방지

 

 

회복과 관리

대부분의 환자는 2~4주 내에 점차 호전되며, 3개월 이내 70~80%가 완전 회복된다.
다만 초기 치료가 늦거나 당뇨, 고령, 심한 마비 증상일 경우에는 완전 회복까지 더 오래 걸리거나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회복을 위한 관리 설명
스트레스 최소화 신경계 회복에 도움
규칙적인 수면 면역력 회복과 재발 방지
얼굴 근육 운동 가벼운 표정 운동으로 신경 회복 자극
따뜻한 찜질 순환 개선, 염증 완화 효과

구안와사는 갑자기 찾아오지만, 조기에 잘 치료하면 대부분 회복 가능한 질환이다.
하지만 ‘감기 같겠지’ 하고 넘기거나, 민간요법만으로 시간을 지체하면 회복이 늦어지고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혹시 요즘 따라 얼굴이 이상하게 느껴지거나, 거울을 봤을 때 표정이 비대칭이라면 지금이 바로 병원을 방문할 때다.
나의 작은 이상을 놓치지 않는 것, 그것이 건강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시작이다.
얼굴도, 나도 웃을 수 있게, 너무 늦기 전에 알아보자.

반응형